"먹고사는 문제에 무너진다" 지난해 자살 사망자 1만4872명, 2011년 이후 최다

지난해 대한민국 40대의 사망 원인 1위가 사상 처음으로 ‘자살’로 집계되면서, 경제활동의 핵심 세대에서 자살률이 전반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고단한 생계 문제, 불안정한 고용 구조, 사회적 고립 등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망원인통계 결과’에 따르면, 2023년 자살로 인한 사망자는 총 1만4,872명으로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이는 2011년 이후 최대 수치이며, 인구 10만 명당 자살률은 29.1명으로 전년보다 6.6% 상승했다.
특히 40대의 경우, 자살이 전체 사망 원인의 26.0%를 차지하며 암(24.5%)을 제치고 처음으로 1위를 기록했다. 불과 1년 전만 해도 암(25.9%)이 자살(23.4%)보다 높은 비중을 보였던 것과 비교하면, 그 심각성이 더 두드러진다.
강원대학교병원 박종익 정신건강의학과 교수(초대 중앙자살예방센터장)는 “40대만의 문제가 아니지만, 이 연령대에서 자살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한 건 심각한 사회적 경고”라며 “경제활동 인구의 자살률이 상승한 것은 결국 ‘먹고사는 문제’가 자살로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령대별 자살자 수 증감률을 보면, 30대가 전년 대비 14.9% 늘어 가장 큰 증가폭을 보였고, 이어 40대(14.7%), 50대(12.2%) 순이었다. 노인빈곤으로 여전히 노동에 종사하는 60대에서도 자살자 수는 3.9% 증가했다. 반면, 70대(-8.7%)와 80세 이상(-10.3%)에서는 자살자 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박 교수는 “국제 구매력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한국의 1인당 순자산은 영국을 앞섰지만, 체감 수준의 삶은 오히려 악화되고 있다는 방증”이라며 “소득 양극화, 주거 불안, 가족 해체 등 복합적인 스트레스 요인이 생존 의지를 약화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자살 문제’를 국가적 위기로 인식하고, 자살률 감소를 위한 대응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2025 국가 자살 예방 전략’을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을 추진할 예정이다.
자살 시도자 대상 위기 개입 및 사후 관리 강화
지자체 중심의 자살 예방 전담 조직 및 인력 확충
인공지능(AI) 기반 자살상담 전화의 실시간 분석 시스템 도입
온라인 자살 유발 정보 탐지 및 차단 체계 고도화
자살은 예방 가능한 사회적 문제다. 경제적, 심리적, 정서적 위기를 겪고 있는 이들에게는 전문적인 개입과 지원이 절실하다. 전문가들은 사회 전반의 안전망을 강화하고, 경제활동 인구에 대한 심리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도움이 필요한 분은 언제든 아래 상담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살예방 상담전화 109 (24시간 운영)
자살예방 SNS상담 ‘마들랜’
<저작권자 ⓒ 크리스천매거진뉴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정하진 기자 다른기사보기